728x90
매월 100만 원씩 주는 부모급여,
어린이집 보내도 차액 받을 수 있다!
부모급여! 알고 계셨나요?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출산 및 육아 지원금은 그 종류가 다양해서 꼼꼼히 챙겨야 할 것 같아요.
부모급여는 2023년 1월 1일부터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영야수당을 확대 개편한 것인데요, 보다 높은 금액을 지원하여 실질적 영아 양육을 돕기 위함이지요.
2025.03.19 - [분류 전체 보기] - 아동수당 언제까지 지급일 신청 양육수당 차이점
아동수당 언제까지 지급일 신청 양육수당 차이점
아동수당,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아동수당과 양육수당은 다른 건가요? 아이를 낳게 되면 정부에서는 아동과 가정을 지원해 주는데요, 그래서 도입한 복지 정책이 바로, 양육수당과 아동
merrytinker.com
목차
1. 부모급여 지원 내용
1. 지원 대상
- 소득과 재산에 관계없이,
-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영아
- 만 0 세(1~11개월)와 만 1세(12~23개월)
2. 지원 금액
2-1. 가정 양육 시
- 만 0세 아동: 월 100만 원(기존 월 70만 원에서 확대 지원)
- 만 1세 아동: 월 50만 원(기존 월 35만 원에서 확대 지원)
2-2. 어린이집 이용 시
- 만 0세 아동: 어린이집을 다니는 경우에는 보육료 바우처로 540,000원이 지원됩니다. 즉, 어린이집 이용료를 지원받습니다. 하지만 부모급여 지원액이 보육료 바우처보다 금액이 크기 때문에 차액인 460,000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 만 1세 아동: 보육료 바우처로 475,000원이 지원되며, 부모급여 지원액이 더 크므로 차액인 25,000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2. 부모급여 신청 안내
1.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신청 가능.
- 방문 신청: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
2. 신청 시기(중요!)
-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한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소급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생후 60일 이후에 신청하는 경우,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원이 시작됩니다.
3. 부모급여 제도의 필요성
부모급여, 꼭 필요한가요?
사례: 직장인 A 씨는 아이를 출산하게 되면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맞벌이하면서 버는 소득에서 외벌이로 전환되니 소득이 현저히 줄어 출산 3개월 만에 아이는 친정부모님께 부탁드리고 다시 직장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그러던 차에, 정부에서 부모급여를 지원한다고 하니, 다소 여유가 생겨 어린아이를 엄마품에서 양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경제적 지원
아이를 출산한 가정은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이 감소하거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죠. 부모급여제도는 출산 및 육아 초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 보장
영유아는 부모 품에서 자라야 정서적으로 안정을 느끼며 성장하게 됩니다. 그래서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해 주지요. 특히, 육아 휴직을 고려하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아이와의 유대감을 형성할 기회를 넓혀줍니다. - 저출산 문제 대응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 낮은 출산율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 제도를 통해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줄여 출산율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 가정 양육 지원 확대
기존에는 어린이집과 같은 보육시설 이용 시 보육료만 지원이 되었고, 가정에서 직접 육아를 하는 경우에는 경제적 지원이 부족한 불균형 현상이 발생했었죠. 부모급여는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부모에게도 경제적으로 지원을 해주어 보육 방식의 선택권을 넓히는 역할을 합니다.
728x90